기사 메일전송
“수리 맡겼더니 더 망가졌다” 자동차 정비 피해 증가
  • 이병문 기자
  • 등록 2025-07-20 17:40:39

기사수정
  • 최근 3년 5개월간 피해구제 신청 953건…10건 중 7건 '정비불량'


자동차 정비 서비스를 이용한 뒤 차량이 손상되거나 하자가 재발하는 피해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18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지난 2022년부터 올해 5월까지 3년 5개월간 소비자원에 접수된 자동차 정비 관련 소비자 피해구제 신청 건수는 953건이다.

 

피해구제 신청 건수는 2022년 234건, 2023년 253건, 작년 355건 등으로 해마다 늘었다. 올해 들어서도 5개월 동안 111건이 접수됐다.

 

유형별로는 정비 후 차량에 손상·흠집이 생기거나 하자가 다시 발생하는 등 '정비 불량'이 699건(73.3%)으로 가장 많았다.

 

수리비나 진단료, 견적료 등을 사전 안내 없이 청구하거나 과잉 정비하는 '제 비용 부당 청구'도 173건(18.2%)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정비 불량이나 과잉 정비 등의 피해 사실은 규명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자동차 정비 관련 피해구제 사건이 배상이나 수리·보수, 환급 등을 통해 합의 처리된 경우는 352건(36.9%)에 불과했다.

 

소비자원은 지난 6월 전국자동차검사정비사업조합연합회 등 자동차 정비 관련 4개 사업조합 연합회와 간담회를 열고 자동차 정비 서비스 신뢰 제고와 소비자 피해 예방을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에 따라 각 연합회는 조합과 회원사를 대상으로 자동차정비업자의 고지, 관리 의무 이행을 홍보할 계획이다.

 

소비자원은 자동차 정비를 의뢰할 때 점검·정비 견적서를 받아 견적 내용과 금액을 미리 확인하고, 정비 완료 후에는 현장에서 정비 결과와 차량 손상 여부를 꼼꼼히 점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점검·정비명세서를 발급받아 작업 내용 등을 사전 안내와 비교해 볼 것과 차량에 이상이 확인되면 무상보증기간 경과 전에 보증수리를 요청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개인택시공제 수익성 지표 1위…합산비율(손해율+사업비율) 89%
  •  기사 이미지 물 빠진 차 어떻게 대처하나…시동 전에 정비부터
  •  기사 이미지 "2030년 전세계 판매 자동차 10대 중 3대는 중국차"
오늘의 주요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