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승용차 고급화·대형화 추세에 쪼그라드는 경차 시장
  • 이병문 기자
  • 등록 2024-06-09 18:18:56

기사수정
  • 1∼5월 경차 판매 4만6517대 작년 대비 8% 감소

현대자동차 캐스퍼.

국내 승용차 시장의 고급화·대형화 추세가 이어지면서 올해 경차 판매가 감소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올해 출시가 예정된 경차 신차도 국내와 수입업체 통틀어 캐스퍼 전기차(EV)가 유일해 올해 연간 판매는 11만대를 간신히 넘길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9일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 시장의 경차 판매량은 8984대로 지난해 같은 달(9959대) 대비 15.4% 줄었다.

 

올해 1∼5월 누적 경차 판매량은 4만6517대로 작년 같은 기간(5만562대)보다 8.0% 줄었다.

 

이러한 감소세가 올해 말까지 이어질 경우 국내시장의 연간 경차 판매량은 11만대를 겨우 채울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 집계에 따르면 국내 경차 판매량은 2012년 21만6221대로 최다를 기록한 후 매년 감소해 2021년에는 10만대에 못미치는 9만8781대로 곤두박질쳤다. 10년 전에 비해 시장 규모가 54%나 쪼그라든 셈이다.

 

국내 경차 시장은 2021년 9월 현대차의 첫 경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인 캐스퍼 출시 후 반등의 기회를 잡았고, 이듬해인 2022년 연간 판매가 13만4294대까지 늘었다.

 

캐스퍼의 인기가 시들해지면서 지난해 상반기 경차 판매량은 10%에 가까운 판매량 감소율을 보였다. 하지만 같은 해 9월 35.2kWh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탑재한 레이EV가 출시되면서 지난해 연간 판매량은 12만4080대를 기록하며 체면치레했다.

 

자동차업계는 올해 캐스퍼, 레이EV 등과 같은 독보적 신차 출시 계획이 없어 경차의 인기 하락 추세는 되돌리기 쉽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레저용 차량(RV) 등을 중심으로 대형화·고급화한 국내 소비자들의 취향이 '경차 외면'으로 이어졌다고 할 수 있다.

 

자동차업체들이 수익성이 낮은 경차보다는 수익성이 높은 중대형 차종을 집중하는 것도 이런 추세를 가속화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모닝과 레이, 스파크가 이끌어왔던 경차 시장에 캐스퍼가 가세하면서 부활 조짐이 있긴 했지만, 독보적 신차가 출시되지 않는 한 경차 외면 추세는 돌이키기 쉽지 않다"고 말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택시 윗부분 표시등 디지털광고판 시범운영 3년 더 연장
  •  기사 이미지 부산 택시기사들 최저임금 소송 또 패소…"근로시간 단축 유효"
  •  기사 이미지 버스·택시·화물차 앞으로 누가 모나
오늘의 주요뉴스더보기
사이드배너_정책공감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