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택시 탄력요금제, 得일까 失일까
  • 이병문 기자
  • 등록 2019-09-23 14:29:15
  • 수정 2019-09-23 14:37:02

기사수정
  • “요금만 더 올라” VS “서비스 향상 전기”
  • 일반택시 도입 이르다는 지적도



국내 택시요금이 탄력요금제 시대에 접어들 전망이다. 카카오모빌리티가 탄력요금제를 적용한 대형택시 서비스 라이언택시출시를 앞두고 있어서다. 이에 앞서 정부는 지난 7월 택시제도 개편안을 내놓으면서 사실상 택시 탄력요금제 허용 의지를 내비쳤다.


23일 택시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모빌리티는 다음달 100여개 택시회사와 손잡고 카카오프렌즈의 인기 캐릭터를 활용한 대형택시(스타렉스 LPG) 서비스인 라이언택시를 선보일 예정이다.


라이온택시는 렌터카승합차 호출서비스인 타다에 자극받아 타다의 성공 방정식인 강제 배차 시스템과 탄력요금제를 따를 것이 확실하다.


택시업계에서는 이미 자동배차를 이유로 기본 운임 외 부가수수료(호출요금)를 받을 수 있는 택시가맹사업체인 타고솔루션즈웨이고 블루’(Waygo Blue)가 운행중이다.


하지만 라이언택시는 웨이고 블루처럼 일정액의 호출요금을 추가로 받는 것이 아니라 이동 수요에 따라 요금을 달리 매기는 탄력요금제로 기존 택시와 차별화된다. 승객이 별로 없는 시간대엔 상대적으로 낮은 요금을, 승객이 몰리는 시간대엔 좀 더 비싼 요금을 받는다.


이에 택시업계는 일반택시에도 탄력요금제 도입을 서둘러 택시산업의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특히 심야 승차난 해소를 위해 할증률을 높이는 취지의 탄력요금제 도입을 제안하고 있다. 하지만 득()이 될는지 실()이 될는지 미지수라는 반론도 나온다.


대부분의 교통 선진국에서는 택시 탄력요금제를 시행하고 있지만 선진국에서는 노상 택시와 예약제로 운행되는 고급 택시로 택시시장이 철저히 이원화된 반면, 한국은 거의 다 노상 택시다.


이로 인해 국내에선 탄력요금제의 최대 의의인 서비스 차별화는 어렵고, 자칫 요금 인상의 빌미만 되기 쉽다는 분석이 나온다. 돈을 더 내도 그에 걸맞은 서비스를 받겠다는 게 탄력요금제의 취지인데, 국내 실정상 택시 잡기 힘든 시간대에 요금만 더 낼 가능성이 크다는 주장이다.


웨이고 블루의 경우 일반택시와 똑같은 중형택시이고 일반택시와 마찬가지로 택시호출 앱 카카오 T’를 사용한다. 하지만 추가요금을 더 낼 만큼 웨이고 블루가 일반택시 서비스보다 비교우위에 있다고 평가하는 소비자들은 그렇게 많지 않다. 연말까지 4000대 수준으로 확대하려고 했던 웨이고 블루가 300대 정도에 그치고 있는 이유다.


승차거부 안 할테니 돈 더 내라는그야말로 혁신적 방법(?)으로 택시요금을 인상했다는 비판의 목소리나 승차거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소비자가 웃돈을 지불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반발하는 사람들도 꽤 많은 것이다.


먼저, 택시산업 전반의 획기적 규제 완화로 시민들의 택시 선택권이 선진국 수준으로 보장돼야 일반 택시에 탄력요금제가 도입돼도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탄력요금제 도입을 논하기에 앞서 택시가 안고 있는 근본 문제부터 해결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다음달 카카오모빌리티가 탄력요금제를 적용한 라이언택시를 출시하면 여러 플랫폼 업체들이 택시업계와 제휴해 비슷한 유형의 택시를 출시할 가능성이 크다. 사실상 택시 탄력요금제 시대에 접어들게 되는 것이다.


이에 영향받아 일반택시의 탄력요금제 도입도 제기될 것으로 보인다. 택시 탄력요금제 도입이 소비자 입장에선 요금만 더 오르는 일이 될 것인지, 아니면 택시서비스 향상의 전기가 될 것인지 아직은 아무도 자신할 수 없는 시대다.


이병문 기자

1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이 기사에 1개의 댓글이 달려 있습니다.

  • 프로필이미지
    dongwon2019-09-23 20:10:17

    택시 탄력요금제 진작 했었어야죠...

전국택시공제조합_02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누가 한국의 택시를 움직이나
  •  기사 이미지 ‘K-패스’ 24일부터 발급…5월1일부터 혜택
  •  기사 이미지 "교통법규 위반 신고, 이제 '안전신문고'로 하세요"
오늘의 주요뉴스더보기
사이드배너_정책공감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