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서울 심야 자율주행버스 안정화…7월부터 유료화
  • 이병문 기자
  • 등록 2024-05-12 20:27:20

기사수정
  • 8372㎞ 무사고·무고장 운행…5개월새 8424명 탑승

서울시 심야 자율주행버스 ‘A21’번. 합정역∼동대문역 구간 중앙버스전용차로 9.8㎞를 평일 오후 11시 30분부터 다음 날 오전 5시 10분까지 운행한다.

서울시는 지난해 말 운행을 시작한 심야 자율주행버스가 안정화 과정을 거쳤다고 보고, 그동안 무료로 시범 운행해 온 버스를 유료로 전환할 계획이다.

 

12일 서울시에 따르면 심야 자율주행버스가 정기 운행을 시작한 지난해 12월 4일부터 서울의 밤거리 8372㎞를 사고나 고장 없이 달렸으며, 이에 따라 오는 7월부터 유료 체제로 전환할 계획이다.

 

요금은 시 조례에 따라 ‘서울시 자율차 운영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정하는데 기존 심야버스 기본요금(2500원)보다는 다소 낮게 책정될 것으로 보인다.

 

심야 자율주행버스 승객은 지난달 30일까지 8424명으로 집계됐다. 하루 평균 94명이 이용한 셈이다.

 

월별 탑승 인원은 작년 12월 1718명, 올해 1월 1684명, 2월 1425명으로 감소하다 3월(1565명)부터 상승세로 돌아섰다. 4월에는 2032명을 기록했다. 날이 풀리고 야외 활동이 많아지면서 심야 자율주행버스를 이용하는 승객도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요일별 탑승객은 월 94명, 화 73명, 수 103명, 목 102명, 금 98명으로 주 중후반대에 탑승객이 비교적 많았다.

 

심야 자율주행버스는 심야 이동 수요가 많은 합정역∼동대문역 구간 중앙버스전용차로 9.8㎞를 평일 오후 11시 30분부터 다음 날 오전 5시 10분까지 운행한다. 노선번호는 '심야 A21'이다.

 

한편, 서울시는 2026년까지 서울 전역에 100대 이상 자율주행 차량을 운행할 계획이다.

 

특히 심야·새벽 자율주행 버스, 교통 소외지역 자율주행 버스 등 '민생 맞춤형 자율주행' 서비스에 50대 이상을 집중 배치한다.

 

이르면 8월부터 강남 일대에서 심야 자율주행택시를 시범운영하고, 10월부터는 새벽 시간대 근로자의 대중교통 편의를 돕기 위해 '자율주행 새벽동행버스'를 선보이는 등 민생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울시는 또 '지역순환 자율주행버스'를 내년 시범 도입해 2026년부터 점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지역순환 자율주행버스는 지하철역과 거리가 멀어 출퇴근길이 불편하거나, 어르신 등 교통약자가 높은 언덕길을 힘들게 올라가야 하는 지역 등을 중심으로 골목골목 진입할 수 있는 중·소형 규모의 버스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전국택시공제조합_02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22대 국회 개원…화물차운수사업법 개정안 재발의될까
  •  기사 이미지 ‘자동차 공제사업 검사·보고 규정’ 제정 시행
  •  기사 이미지 한국택시서울협동조합 사무실 강제철거 막다 조합원 분신 시도
오늘의 주요뉴스더보기
사이드배너_정책공감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